1월, 2020의 게시물 표시

문법없이 영어책 읽기

한국 사람들의 환상중에 하나가 영어실력을 늘기 위해 영어로 생각하고 말하고 영어로 생각하는 연습해야한다는 것인데 정말 잘못된 생각이다. 이것은 미국사람과 오랜생활을 통해 기초적인 언어부분이 머리속에 잡아 있는 사람들에게 해당되지 대부분의 한국사람에게는 해당이 되지 않는다. 모국어로 적어도 6학년까지 발전시키지 못하면 배우자고자 하는 외국어도 힘들다는 리서치가 있다. 한국에서의 영어공부는 회화도 그렇고 독해도 그렇고 영어의 한국어로의 번역과정이 필수적이어야 된다. 심지어 미국학교 조차도  학생의 모국어를 이용해 영어공부를 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이 방법이 매우 효과적이라고 교육학자들 사이에서 검증되었기 때문이다.  즉, 학생이 모국어로 가지고있는 기존의 지식과 그 지식과 관련된 영어지식을 대응시키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I have an apple이란 단어와 "나", "가지고있다", "사과"라는 지식을 대응시키는 것이다. 다른 예를 들어보자. 내가 유럽식 사회주의에 대한 지식이 있다면 영어로된 원서, socialism에 대한 책을 읽으면서 제대로 한국어로 번역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다. 물론 이렇게 계속 심도깊게 하면 머리에 두개의 언어 집이 생기고 자연스럽게 이 집들이 서로 오고가며 도와주는 현상이 생긴다. 그래서 심지어 어른들이 더 빨리 외국어를 배울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아이들이 외국에서 그 외국어를 빨리 배우는 것은 그들이 학교안에서 생존해야 되기때문이지 언어적 뇌의 차이가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 보통 한국에서 아이들이 영어를 배우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아주 어릴때는 파닉스와 회화를 배우고 좀 신경쓰면 이야기책 읽히고 그러다가 초등 고학년때 문법및 중등 독해 선행을 한다. 이렇게 하는데도 아이들이 미국인 앞에 떨려 입이 막히고, 조금만 복잡한 문장을 보이면 이에 대한 이해가 바닥이라는 것은 너무 안타까운 현상이다. 정말 잘못하는 것은 초등 고학년때 시작하는 문법공부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