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나로 잘 살려면
인류의 역사를 통해 문명이 시작된 것은 인간이 "내가 누구인가"라는 질문으로부터이다. 거기서부터 내세, 해탈, 구원, 전생 등의 관념이 생겨났다. 이집트문명에서 또한 가부좌를수메르문명보다 앞서고 있다는 홍산문명에서 가부좌를 한 여신상의 발견 또한 동북아시아의 문명의 근원 또한 이러한 정신적 각성이 아닌가 추정된다. 서양 사상의 시초는 소크라테스이고 그는 "너자신을 알라"라는 말로 자신에 대한 지식을 모든 지식의 근원으로 삼았다. 한편 동양사상의 문을 연 가장 중요한 인물중의 하나인 부처는 모든 것이 "나의 마음"에서 부터 나온다는 사상을 열었다. "나"를 바꾸기 위해 우리는 노력한다. 어릴때는 부모의 간섭때문에 커서는 끊임없는 가족과 사회적 압력때문이다. 이러한 압력으로 내 자신이 누구인가를 바라보는 시간을 갖기보다는 다른 사람들이 정해놓은 목표나 이상을 따르려고 내 자신을 학대하는 데 시간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심리적으로 힘들수밖에 없다. 내가 내 자신을 모르니 잊고 사니 우리는 근본적으로 불안하다. 이 불안이 더 외부의 세계에 몰입하도록 부추기거나 그 외부의 세계의 자극에 중독시키는 역할을 하게되기도 한다. 내가 뭔가 잘못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외부의 세계의 기준에 의해 내 자신을 변화시키려고 하는데 사실상 내가 내 자신을 모르니 이 변화는 실패할 수 없는 운명이고 내 안에서의 심리적 불안과 뒤틀림만을 야기하게 된다. 내가 내 자신을 아는 것은 내 자신의 한계를 직시하는 것이다. 내 한계는 수많은 컴플랙스로 이루어져있고 이 컴플랙스를 알게 하는 것은 외부세계와의 마찰을 통해서이다. 그러므로 나의 원수는 나의 스승인 것이다. 이 한계를 정확히 직시할때 쓸데없는 내 자신을 변하려하는 노력은 하지 않게 된다. 우리가 하는 노력의 상당부분은 의식하지 못하지만 사실상 인격적이 변화이다. 왜냐하면 어렸을때부터 우리의 심리는 상당한 부분들이 옳고 그름의 도덕적 기준으로 만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