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의 게시물 표시

내가 나로 잘 살려면

인류의 역사를 통해 문명이 시작된 것은  인간이 "내가 누구인가"라는 질문으로부터이다. 거기서부터 내세, 해탈, 구원, 전생 등의 관념이 생겨났다. 이집트문명에서 또한 가부좌를수메르문명보다 앞서고 있다는 홍산문명에서 가부좌를 한 여신상의 발견 또한 동북아시아의 문명의 근원 또한 이러한 정신적 각성이 아닌가 추정된다.  서양 사상의 시초는 소크라테스이고 그는 "너자신을 알라"라는 말로 자신에 대한 지식을 모든 지식의 근원으로 삼았다. 한편 동양사상의 문을 연 가장 중요한 인물중의 하나인 부처는 모든 것이 "나의 마음"에서 부터 나온다는 사상을 열었다.  "나"를 바꾸기 위해 우리는 노력한다. 어릴때는 부모의 간섭때문에 커서는 끊임없는 가족과 사회적 압력때문이다. 이러한 압력으로 내 자신이 누구인가를 바라보는 시간을 갖기보다는 다른 사람들이 정해놓은 목표나 이상을 따르려고 내 자신을 학대하는 데 시간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심리적으로 힘들수밖에 없다. 내가 내 자신을 모르니 잊고 사니 우리는 근본적으로 불안하다. 이 불안이 더 외부의 세계에 몰입하도록 부추기거나 그 외부의 세계의 자극에 중독시키는 역할을 하게되기도 한다.  내가 뭔가 잘못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외부의 세계의 기준에 의해 내 자신을 변화시키려고 하는데 사실상 내가 내 자신을 모르니 이 변화는 실패할 수 없는 운명이고 내 안에서의 심리적 불안과 뒤틀림만을 야기하게 된다.  내가 내 자신을 아는 것은 내 자신의 한계를 직시하는 것이다. 내 한계는 수많은 컴플랙스로 이루어져있고 이 컴플랙스를 알게 하는 것은 외부세계와의 마찰을 통해서이다. 그러므로 나의 원수는 나의 스승인 것이다. 이 한계를 정확히 직시할때 쓸데없는 내 자신을 변하려하는 노력은 하지 않게 된다. 우리가 하는 노력의 상당부분은 의식하지 못하지만 사실상 인격적이 변화이다.  왜냐하면 어렸을때부터 우리의 심리는 상당한 부분들이 옳고 그름의 도덕적 기준으로 만들어...

문법없이 영어책 읽기

한국 사람들의 환상중에 하나가 영어실력을 늘기 위해 영어로 생각하고 말하고 영어로 생각하는 연습해야한다는 것인데 정말 잘못된 생각이다. 이것은 미국사람과 오랜생활을 통해 기초적인 언어부분이 머리속에 잡아 있는 사람들에게 해당되지 대부분의 한국사람에게는 해당이 되지 않는다. 모국어로 적어도 6학년까지 발전시키지 못하면 배우자고자 하는 외국어도 힘들다는 리서치가 있다. 한국에서의 영어공부는 회화도 그렇고 독해도 그렇고 영어의 한국어로의 번역과정이 필수적이어야 된다. 심지어 미국학교 조차도  학생의 모국어를 이용해 영어공부를 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이 방법이 매우 효과적이라고 교육학자들 사이에서 검증되었기 때문이다.  즉, 학생이 모국어로 가지고있는 기존의 지식과 그 지식과 관련된 영어지식을 대응시키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I have an apple이란 단어와 "나", "가지고있다", "사과"라는 지식을 대응시키는 것이다. 다른 예를 들어보자. 내가 유럽식 사회주의에 대한 지식이 있다면 영어로된 원서, socialism에 대한 책을 읽으면서 제대로 한국어로 번역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다. 물론 이렇게 계속 심도깊게 하면 머리에 두개의 언어 집이 생기고 자연스럽게 이 집들이 서로 오고가며 도와주는 현상이 생긴다. 그래서 심지어 어른들이 더 빨리 외국어를 배울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아이들이 외국에서 그 외국어를 빨리 배우는 것은 그들이 학교안에서 생존해야 되기때문이지 언어적 뇌의 차이가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 보통 한국에서 아이들이 영어를 배우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아주 어릴때는 파닉스와 회화를 배우고 좀 신경쓰면 이야기책 읽히고 그러다가 초등 고학년때 문법및 중등 독해 선행을 한다. 이렇게 하는데도 아이들이 미국인 앞에 떨려 입이 막히고, 조금만 복잡한 문장을 보이면 이에 대한 이해가 바닥이라는 것은 너무 안타까운 현상이다. 정말 잘못하는 것은 초등 고학년때 시작하는 문법공부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