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행동변화를 원하세요?

아이의 과잉행동성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3가지를 권해드립니다. 첫째는 방과후에 운동을 많이 시켜야 됩니다.
에너지가 많아 스스로 조절을 못하고 더군다나 사춘기의 증상이 관찰될 시 이 부분은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될 것입니다.
둘째 뭔가 집중할 수 있는 분야를 찾는 것을 찾는 것도 중요하다고 봅니다. 운동으로 푸는 것은 일주일 내내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니 - 어떤 특정한 운동을 일주일 내내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주말을 포함해 수많은 짜투리시간이 있으니 - 학생
이 좋아하는 한두가지 분야를 알아내어 아이가 가지고 있는 많은 에너지를 쏟을 수 있는 기회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만약 아이가 미술이나 음악을 좋아하면 이것을 아이가 해야 될 주요 활동들 중 하나로 포함시켜야되지 않나
생각됩니다. 그러나 관건은 이 활동을 할때 정말 모든 행동이 어느 정도 수그러들고 그 활동 자체에 빠질 수 있는가 이겠지요.
마지막으로 규칙위주로 이 아이의 행동에 대한 상벌이 있어야 됩니다. 인간의 행동은 쾌락을 쫓고 고통은 피하는 원리를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규칙과 상벌은 단순 명확해 상벌을 받는 아이나 상벌을 내리는 부모가 되도록이면 상벌을
줄때 해석이나 변명의 여지가 없어야 됩니다.  그래야 특히 벌은 자기가 부당하게 당하고 있다는 느낌을 피할 수 있고 벌을
집행하는 부모도 신속하게 집행할 수 있습니다. 규칙은 함께 만들었다는 의식을 주기위해 만들때 규칙 제정시 아이의 의사를
물어 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처벌과 상은 즉각적이어야 효과적입니다. 생각할 여지가 없이 경고 한두번 그 이외는 바로 처벌에 들어가야 합니다.  아이가
여러가지 핑계를 되고 자신은 부당하다고 이야기할 때도 있을 것입니다. 이때 할 수 있는 것은 아이가 조금 말하자마자
아애 말을 하지말게 하고(왜? 법을 해석하고 집행하는 자는 부모이기때문) 처벌을 하면서 처벌이 끝나면 말할 기회를 주겠다
고 하고 이후에 대화를 하면 됩니다. 이때의 대화는 토론이 아니라  말 그대로 대화입니다. 만약 토론을 정하고 싶다면 토론이
하나의 파워 게임이 아니라 부모가 나이를 내려놓고 동등한 입장에서 이 토론을 즐기면 됩니다. 반면 대화의 본질은 상대방
의 이해이고 공감이고 들어줌입니다. 이때 부모는 규칙이 좀 무리하다싶으면 다시 아이와 함께 규칙을 고치면 됩니다.

상벌에 있어서 상은 점수제로 하면 효과적입니다. 부모가 아이에게 바라는 행동이나 말이 나와있을때 칭찬과 동시에 상점이
나가고 일정한 상점에 도달했을 때 이미 함께 정해놓은 상을 주면 됩니다. 벌은 벌점으로 나가되 이미 통제가 안되는 경우는
말하지 못하게하고 눈감고 명상을 하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명상이 과잉행동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은
여러 리서치로 증명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을 명상이라고 부르는 것보다는 침묵의 시간이라고 명명하는게 좋습니다.
명상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좋아하는 것을 빼앗거나 하지 못하게 하는 처벌은 되도록이면
피하시기를 바랍니다.

잔소리는 피해야 합니다. 행동이 잘못되었을때 그냥 행동을 다시 고쳐서 하게하거나 처벌로 바로 들어가지 처벌하면서 설교
나 잔소리는 자제하는것이 좋습니다. 만약 하고 싶다면 한두마디로 명확하게 합니다.  행동은 설교로 절대로 바뀌지 않습니다
. 설교를 하다가 서로 말싸움을 하거나 참다참다 폭발하는 경우가 생기니 그러다보면 자신의 말에 권위가 없어집니다.
자유주의 교육이 권위주의 교육보다 훨씬 좋다고 저는 믿고 있습니다. 그러나 규칙이 실행되지 않는 자유주의 교육보다는
권위주의 교육이 아이들의 정신적 안정감에는 더 좋지 않나생각합니다. 인간이 중력을 배워 걸어다녀 신체적으로 안정감을
갖는 것처럼 아이들도 정신적인 안정감을 갖기 위해서는 정신적인 바위같은 존재가 필요합니다. 이 정신적 바위의 역할을
하는 것이 규칙이고 그 규칙을 실행하는 부모이죠. 규칙을 어길시 행동에 대한 벌칙만 주어야하고 사람 자체는 품는 태도가
정서적인 안정감을 주겠지요.

마지막으로 벌은 최소로 칭찬을 많이 하시기를 바랍니다. 칭찬은 돌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이 있듯이 어쩌다가 나온 훌륭한
행동을 많이 칭찬하면 그 행동이 증폭이 될 것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진중권과 인터넷 글쓰기

문법없이 영어책 읽기

내가 나로 잘 살려면